미술치료 (26)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술치료에서 점토와 조형 활동이 주는 신체 감각적 치유 효과 1. 점토 미술치료의 신체 감각적 특성과 심리적 연결점토는 미술치료에서 매우 독특한 매체로 사용된다. 점토는 손으로 직접 만지고 주무르는 과정에서 촉각, 압력, 온도 같은 다양한 신체 감각을 제공하기 때문에,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정서가 자연스럽게 드러날 수 있다. 아동이나 성인은 손끝으로 점토를 만지면서 긴장을 해소하거나 내면의 불안을 무의식적으로 표출하게 된다. 치료사가 지켜보는 과정에서 피치료자는 점토를 쥐거나 찢고 두드리는 행동을 통해 감정을 직접적으로 외부화하게 된다. 이러한 감각적 경험은 뇌의 정서 조절 영역과 연결되며, 특히 스트레스 호르몬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점토는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쉽게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피치료자는 자신의 마음 상태를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으며 이 .. 언어 표현이 어려운 아동의 감정 표현을 돕는 미술치료 방법 1. 언어 표현이 어려운 아동과 감정 소통의 한계언어 발달이 또래보다 늦거나 언어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은 자신의 내적 감정을 적절하게 전달하기 힘들다. 아동은 감정을 표현하지 못할 때 종종 울음이나 분노, 혹은 무반응 같은 극단적인 방식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보호자와 교사가 아동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 과정에서 아동은 이해받지 못한다는 좌절을 경험하게 되고, 정서적 고립감이 커질 수 있다. 미술치료는 바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적 소통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언어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그림, 색, 선, 형태와 같은 비언어적 매체는 아동의 내면을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동이 언어 대신 시각적 기호를 사용하여 마음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면 정서적 긴장이 완화되고 타인..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