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치료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 미술치료 기법

1. ADHD 아동의 집중력 문제와 미술치료의 필요성

ADHD 아동은 주의 집중이 어렵고, 과잉 행동이나 충동성을 보이기 때문에 학업과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교실 수업에서 장시간 앉아 있거나 특정 과제에 몰입하는 데 한계를 가지며, 그 결과 학업 성취도가 낮아지고 또래 관계에서도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 쉽다. 전통적인 학습 방식은 이러한 아동들에게 좌절감을 주기 때문에, 흥미를 유발하고 몰입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이때 창의적 미술치료 기법은 효과적인 대안이 된다. 미술은 손과 눈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시각적 자극과 감각적 체험을 제공해 자연스럽게 주의 집중을 유도한다. 또한 완성된 결과물이 눈에 보이는 성취감을 주기 때문에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다시 집중하려는 동기를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치료는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에 있어 교육적·치료적 가치를 동시에 가진다.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 미술치료 기법

2. 집중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 미술치료 기법

ADHD 아동에게 적용되는 창의적 미술치료 기법은 놀이와 학습을 결합한 활동으로 구성된다. 첫째, ‘점 연결 드로잉’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점을 연결해 그림을 완성하는 활동으로, 시각적 추적과 주의 집중을 강화한다. 둘째, ‘색채 패턴 반복하기’ 기법은 특정 색을 규칙적으로 칠하거나 패턴을 반복하게 하여 집중력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셋째, ‘시간 제한 미술 활동’은 정해진 시간 안에 작은 작품을 완성하게 함으로써 목표 지향적 집중을 훈련한다. 넷째, ‘조형 활동(점토·종이 접기)’은 손의 감각을 활용하여 몰입을 높이고 충동성을 완화시킨다. 다섯째, ‘창의적 스토리 드로잉’은 아동이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는 활동으로, 집중과 상상력을 동시에 자극한다. 이러한 기법들은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집중을 지속하고 과제를 끝까지 완수하는 경험을 제공하여, ADHD 아동의 주의력 조절 능력을 향상시킨다.


3. ADHD 아동 미술치료 사례와 집중력 변화

한 아동상담센터에서 실시된 ADHD 아동 미술치료 사례를 보면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9세 남아는 교실에서 산만하고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보였다. 치료 초기 단계에서는 ‘점 연결 드로잉’을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집중하는 경험을 제공했으며, 그는 처음에는 몇 분도 집중하지 못했으나 점차 긴 시간 동안 주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색채 패턴 반복하기’를 적용하자 색칠을 끝까지 완성하려는 의지가 생기며 성취감을 경험하였다. 중기 단계에서는 ‘조형 활동’을 활용했는데, 점토로 동물을 만들며 몰입하는 시간이 늘어났고, 충동적으로 자리를 벗어나는 행동도 줄어들었다. 최종 단계에서는 ‘창의적 스토리 드로잉’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그림으로 표현하면서 이야기 전개에 집중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 사례는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집중력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창의적 미술치료의 확장 가능성과 의의

앞으로 ADHD 아동 집중력 향상 미술치료 기법은 교육 현장과 임상 환경에서 더 널리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학교 수업에 미술치료 요소를 접목하면, ADHD 아동은 지루함을 덜 느끼며 학습에 참여할 수 있고 교사도 긍정적 행동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아트를 활용한 온라인 미술치료는 게임적 요소와 상호작용을 결합해 ADHD 아동의 집중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 기반 드로잉 프로그램이나 가상현실 미술 활동은 몰입도를 높여 학습적 효과를 배가시킨다. 중요한 점은 미술치료가 단순히 주의력 향상에 국한되지 않고, 자기 조절 능력, 성취 경험, 정서 안정으로까지 이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창의적 미술치료는 ADHD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치료적 접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앞으로 더욱 발전된 기법과 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이 확장될 것이다.